SAFETYLIT WEEKLY UPDATE

We compile citations and summaries of about 400 new articles every week.
RSS Feed

HELP: Tutorials | FAQ
CONTACT US: Contact info

Search Results

Journal Article

Citation

유. J. Korea Inst. Fire Sci. Eng. 2021; 35(3): 59-67.

Vernacular Title

국내 원자력발전소에서의 임시 점화원 화재 리스크 평가

Copyright

(Copyright © 2021, Korea Institute of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DOI

10.7731/KIFSE.36c47dc0

PMID

unavailable

Abstract

The fire risk of a nuclear power plant is evaluated using fixed and transient ignition sources. In terms of the overall fire risk, the proportion of transient ignition sources is very small. However, because the uncertainty due to the difference between the assumptions and the modeling method is relatively large,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 methodology to address this. In this study, the new transient ignition source evaluation method presented in NUREG/CR-6850, the ignition source frequency revised in NUREG-2169, and the input parameters for transient fire modeling presented in NUREG-2233 were used to evaluate the fire risk assessment for transient ignition sources. In this new evaluation methodology, the fire ignition frequency is quantitatively evaluated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area, and an area-based scenario evaluation method considering the location of the transient ignition source is proposed for the evaluation within the area. As a result of applying the new methodology to the switchgear room of a reference nuclear power plant, an approximately 70% risk reduction was confirmed compared to the existing EPRI TR-105928 method. In the future, if fire risk assessment for transient ignition sources in nuclear power plants is applied using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is expected that areas whose control is important in the event of a fire can be determined, which should help reduce highly rated fire risks.

===

원자력발전소의 화재 리스크는 크게 고정 점화원과 임시 점화원으로 나누어 평가한다. 화재 리스크 관점에서 임시 점화원의 비중은 매우 적으나 가정 사항과 모델링 방법의 차이로 인한 불확실성이 상대적으로 크므로 이에 대한 방법론의 정립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NUREG/CR-6850의 새로운 임시 점화원 평가 방법, NUREG-2169의 개정된 화재발생빈도 및 NUREG-2233에 제시된 입력 매개변수를 활용하여 임시 점화원 화재 리스크 평가를 수행하였다. 신규 방법론은 구역 특성을 토대로 임시 점화원의 구역별 화재발생빈도를 정량적으로 평가하며, 구역 내 평가는 임시 점화원의 위치를 고려한 면적 기반 시나리오 평가 방법을 제안한다. 참조 원전의 스위치기어실에 대하여 신규 방법론을 적용한 결과, 기존 EPRI TR-105928 방법 대비 약 70%의 리스크 감소를 확인하였다. 향후 본 연구의 결과를 원자력발전소의 임시 점화원에 대한 화재 리스크 평가에 활용할 경우 보다 현실적인 분석으로 화재 발생 시 중요 구역을 도출 할 수 있으며, 고평가된 화재 리스크 저감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Language: ko

NEW SEARCH


All SafetyLit records are available for automatic download to Zotero & Mendeley
Pri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