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AFETYLIT WEEKLY UPDATE

We compile citations and summaries of about 400 new articles every week.
RSS Feed

HELP: Tutorials | FAQ
CONTACT US: Contact info

Search Results

Journal Article

Citation

Han M, Jung D, Lee YI, Shin S. J. Korean Soc. Transp. 2018; 36(5): 360-370.

Vernacular Title

보행자 속도 변경 행태의 영향요인 분석

Copyright

(Copyright © 2018,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DOI

10.7470/jkst.2018.36.5.360

PMID

unavailable

Abstract

As interest in quality of life improvements and sustainable development has increased, societal need for walking expediency promotion is rising. In order to effectively promote walking related projects and policies, an understanding of pedestrian behavior must take precedence. However, information including, among others, the types of walking environments in which pedestrians feel uncomfortable and thus alter their existing walking speed and direction, and the types of pedestrian attribute groups that are particularly sensitive to walking environments is still insufficient. In this study, we analyze conditions under which the pedestrian changes their existing walking speed and direction. We also examine whether the tendency of this selection is different between pedestrian attribute groups. In order to achieve this, the research is conducted using a stated preference survey based on discrete choice experiments, asking for a preference between a maintenance or change in walking velocity in a virtual walking environment. Influences on changes in walking velocity is determined using the binary logit model for the following factors: (1) the social walking environment, including attributes such as distance, angle, relative speed, walking density with respect to another pedestrian or obstacle, (2) the physical environment regarding the width of the walking space and its slope, and (3) individual pedestrian attributes such as age, gender, trip purpose, and trip frequency. The result show that closer distance to the obstacle or other pedestrian, obstacles positioned in front than to the side, slower relative speeds of the obstacle or other pedestrians and narrower width of the walking space have statistical significance in affecting the change in walking speed and direction. Other findings from this research, we found that older people have lower likelihood of changing their walking speed and direction. Compared to non-business purpose trip pedestrians, the likelihood of pedestrians on business-purpose trips changing their walking velocity was higher. There was also a clear difference between genders. On the other hand, there was no statistical significance between differences in selection tendency of walking velocity according to congestion level, slope, and pass frequency in the walking space. With these findings, we first provide insights on how to evaluate walking policy effects and service levels for individual pedestrians from a micro-level perspective. For example, the possibility that a pedestrian changes velocity or the expected number of changes in velocity can be taken into consideration as an evaluation index. Secondly, the fact that results of this research can be utilized as basic data for the development of a walking behavior simulator at the micro-level will increase its importance and utilization factor in the future.



삶의 질 향상과 지속가능 발전에 대한 관심이 커지면서 보행 편의 증진에 대한 사회 요구가 높아지고 있다. 보행관련 사업 및 정책을 효과적으로 추진하기 위해서는 보행자 행태에 대한 이해가 우선되어야 한다. 그러나 보행자가 어떤 보행환경에서 불편함을 느끼고 기존 보행 속력과 방향을 변경하는지, 어떤 보행자 특성 그룹이 보행환경에 민감한지 등에 관한 정보는 여전히 부족하다. 이 연구는 보행자가 기존의 보행 속력 또는 방향을 어떤 조건에서 바꾸려 하는지를 분석하였다. 또한 이 선택의 경향이 보행자 특성 그룹간에 차이가 있는지를 검토하였다. 이를 위해 이 연구는 보행자에게 가상적인 보행 환경을 제시하고 보행 속도를 유지 또는 변경할 것인지를 묻는 이산선택실험 기반의 진술선호 조사를 실시하였다. 장애물 또는 다른 보행자와 거리, 각도, 상대 속력, 보행밀도를 포함하는 사회적 보행환경과 보행공간의 폭, 경사와 같은 물리적 보행환경, 연령, 성별, 통행목적, 통행빈도와 같은 보행자 특성이 보행속도 변경 행태에 미치는 영향은 이항로짓 모형으로 규명하였다. 그 결과 장애물 또는 다른 보행자와 거리가 가까울수록, 측면보다 정면에 장애물이 있을수록, 장애물 또는 다른 보행자의 상대속력이 느릴수록, 보행공간의 폭이 좁을수록 보행 속력 또는 방향을 변경하는 선택 경향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고령자일수록 보행 속력 또는 방향의 변경 가능성은 줄었다. 비업무목적 보행자에 비해 업무목적 보행자가 보행속도를 변경할 가능성이 높았다. 성별에 따라서도 뚜렷한 차이가 있었다. 반면 보행공간의 혼잡수준, 경사, 통행빈도에 따른 보행 속도 선택 경향의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이 연구는 첫째, 미시적 관점으로 개별 보행자 단위의 보행정책 효과 또는 서비스수준을 평가하는 방안에 관한 시사점을 제공한다. 예컨대 보행자가 속도를 변경할 가능성이나 기대횟수가 평가지표로 고려될 수 있다. 둘째, 이 연구의 결과는 미시적 관점의 보행행태 시뮬레이터 개발에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는 점에서 앞으로 그 중요성과 활용도가 높아질 것으로 기대된다.
키워드
이항로짓모형
이산선택실험
보행자
진술선호조사
보행행태


Keywords
binary logit model
discrete choice experiments
pedestrian
SP survey
walking behavior


Language: ko

NEW SEARCH


All SafetyLit records are available for automatic download to Zotero & Mendeley
Pri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