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AFETYLIT WEEKLY UPDATE

We compile citations and summaries of about 400 new articles every week.
RSS Feed

HELP: Tutorials | FAQ
CONTACT US: Contact info

Search Results

Journal Article

Citation

Kim W, Seo B, Kim K. For. Youth Cult. 2017; 51: 41-69.

Vernacular Title

과보호 양육, 자아 탄력성 및 사회적 위축이 남녀 청소년의 우울에 미치는 영향

Copyright

(Copyright © 2017, Research Center For Korean Youth Culture)

DOI

10.17854/ffyc.2017.07.51.41

PMID

unavailable

Abstract

Using the National Youth Policy Institute's Panel Study on Korean Children and Youth as a basis for our study, we investigated the effects of overprotective parenting, ego resilience, and social withdrawal on depression among Korean youth. More specifically,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this study analyzed the sixth wave data of the KYPS which included 2,351 middle first grade student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Adolescents who feel overprotective parenting had a low level of ego resilience and a high level of depression. Overprotective parenting had a significant impact on youth depression mediating ego resilience and social withdrawal. That is, students who demonstrated a high level of ego resilience were less likely to experience depression and social withdrawal. In addition, ego resilience played a critical role in reducing social withdrawal. However, social withdrawal among students had a mediating effect on increased depression. From the multi-group analysis, social withdrawal appears to have a gender-differentiated effect on depression among Korean youth. Males had bigger effect size than females. These findings indicate that various educational programs for parenting should be designed to address students' internal problems by developing their ego resilience.

Keywords: Overprotective Parenting, Depression, Ego Resilience, Social Withdrawal
키워드: 과보호양육, 우울, 자아탄력성, 사회적 위축


Language: ko

Vernacular Abstract

본 연구는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의 '한국 아동․청소년 패널조사' 중1패널 중 6차 데이터 총 2,351명의 자료를 활용하여 국내 청소년이 지각하는 부모의 과보호양육과 자아탄력성, 사회적 위축이 우울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구조방정식 모형을 통해 그 관계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아울러 과보호양육과 자아탄력성, 사회적 위축, 우울에는 남녀 간 차이가 있다고 보고된 바, 조절변수로 성별을 투입하여 차이를 확인하였다.

부모의 양육태도를 과보호적으로 느끼고 있는 청소년은 자아탄력성이 낮고 우울정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아울러 과보호양육은 자아탄력성과 사회적 위축을 통해 우울감에 영향을 주고 있었다. 이는 과보호양육을 받고 있다고 느끼는 청소년은 자아탄력성이 낮아져 사회적 위축을 경험하고 이를 통해 우울을 느끼게 된다는 것이다. 또한 본 연구에서 추가적으로 각 변인들의 관계에 대한 남녀 차이를 살펴 본 결과 사회적 위축이 우울감에 미치는 경로에서 여학생과 남학생 모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여학생에 비해 남학생의 영향정도가 더 큰 것으로 나타나 남녀 차이가 확인되었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청소년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위험요인인 과보호양육과 사회적 위축, 그리고 보호요인인 자아탄력성을 고려하여 청소년 우울의 예방과 관련한 시사점을 탐색해 보았다.

NEW SEARCH


All SafetyLit records are available for automatic download to Zotero & Mendeley
Pri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