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AFETYLIT WEEKLY UPDATE

We compile citations and summaries of about 400 new articles every week.
RSS Feed

HELP: Tutorials | FAQ
CONTACT US: Contact info

Search Results

Journal Article

Citation

Kim E, Choi EJ, Yang JY. J. Korean Soc. Transp. 2015; 33(1): 29-39.

Vernacular Title

보행자도로 서비스 수준 분석방법 개선 연구

Copyright

(Copyright © 2015,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DOI

10.7470/jkst.2015.33.1.29

PMID

unavailable

Abstract

Currently, level of service(LOS) analysis methods for pedestrian sidewalks are provided in Korean Highway Capacity Manual(KHCM, 2013). However, conventional methods provided in the KHCM produce most of pedestrian sidewalks' LOS as level A, indicating that existing analysis methods are unable to reflect realistic pedestrian sidewalks' LOS. The objectives of this research are to identify the suitability of current LOS criteria and to propose improved LOS evaluation criteria and methods with pedestrian volume data carried out for 10,000 sites in 2009. This research proposes new criteria by using the qualitative definition of LOS proposed by Fruin and Hall, new standard Korean human scale and new criteria of pedestrian occupancy space. Application results of new criteria show that more realistic results can be achieved than the existing methods. It is expected that applying the newly developed criteria and methods can make planning, design and construction of pedestrian sidewalks more realistic and various.



Keywords
LOS criteria; occupancy space; pedestrian; pedestrian flow rate; sidewalk ; LOS기준; 점유공간; 보행자; 보행교통류율; 보행자도로


Language: ko

Vernacular Abstract

현재 보행자도로의 LOS분석 방법은 한국도로용량편람(2013)의 보행자시설편에서 제공하고 있다. 그러나 용량편람에서 제시하는 보행자도로의 분석방법을 적용하여 LOS를 산출할 경우, 분석지점의 대부분이 A수준으로 산출되어 현실적인 보행자도로의 서비스 수준을 반영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2009년 조사된 '서울시 유동인구조사' 자료를 바탕으로 현재 도로용량편람에서 제시하는 보행자도로의 MOE를 적용하여 LOS기준의 적정성과 문제점을 파악하고, 보다 개선되어진 LOS기준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의 개선방안으로 본 연구에서는 표준인체치수의 최신화, 보행점유공간의 여유폭 고려, Fruin과 Hall의 연구에서 제시하는 LOS의 정성적인 정의를 활용하여 새로운 기준을 제시하였다. 새로운 기준의 적용결과 종전의 보행자도로 LOS판단 기준보다 합리적인 결과를 보였으며,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추후 보행자도로에 관한 현실적이고 다양한 계획 설계 시공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NEW SEARCH


All SafetyLit records are available for automatic download to Zotero & Mendeley
Pri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