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AFETYLIT WEEKLY UPDATE

We compile citations and summaries of about 400 new articles every week.
RSS Feed

HELP: Tutorials | FAQ
CONTACT US: Contact info

Search Results

Journal Article

Citation

Choi ST, Choo SH, Jang JY. J. Korean Soc. Transp. 2015; 33(6): 584-597.

Vernacular Title

접근성 지표를 도입한 보행로 서비스 수준의 영향요인 규명

Copyright

(Copyright © 2015,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DOI

10.7470/jkst.2015.33.6.584

PMID

unavailable

Abstract

A considerable amount of literature has been published on pedestrian LOS. So far, however, there is a limitation that LOS analysis methodologies has concentrated on quantitative variables such as pedestrian flow rate, speed and space. This paper intended to suggest the accessibility variable which can not be considered on previous study. The factor was defined and quantified using public transport attributes in particular. This study was carried out in three phases: 1. defined accessibility employing public mode location and service information. 2.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accessibility and pedestrian flow rate 3. developed the model to establish the factors affected to pedestrian LOS. The results showed that accessibility, walkway attribute and land use type affected the pedestrian LOS. Especially, accessibility and commercial area ratio had negative relationship with LOS. Futhermore, pedestrian LOS declined when obstacle of bus station located on the walkway. On the contrary, LOS was upgraded when sufficient effective width or residential area was secured. These results can receive considerable critical attentions related to determination of pedestrian LOS or effective walkway width.]


Language: ko

Vernacular Abstract

보행로 서비스 수준 평가에 활용된 기존 지표는 보행의 양적인 측면에만 집중한다는 점에서 서비스 수준을 올바르게 평가하지 못하는 한계점을 갖고 있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 본 연구는 평가를 위한 효과척도로 접근성 지표를 제안하였다. 특히 대중교통수단과 보행로간의 접근성에 주목하여 변수를 구축하였다. 본 연구는 3단계로 구성된다. 1단계에서는 버스와 지하철 등의 대중교통 지표를 활용해 접근성 변수를 수단별로 정의하였다. 2단계에서는 접근성 변수와 보행류율간의 상관관계를 검토하였다. 3단계에서는 접근성 변수를 포함한 보행로 서비스 수준의 영향요인을 규명하는 모형을 개발하였다. 개발 결과, 접근성, 보행로 기하구조, 주거와 상업 등의 토지이용 용도 등이 보행로 서비스 수준에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접근성, 상업용도 면적 비율은 보행 활동을 유인하여 서비스 수준을 떨어트리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와 함께 지장물과 버스 정류장이 입지하는 경우에도 서비스 수준은 하락하였다. 그러나 주거면적 비율이 높거나 유효보도폭이 넓을수록 서비스 수준은 향상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보행로 서비스 수준 산정, 유효보도폭 결정 등의 분야에 활용될 수 있다.

NEW SEARCH


All SafetyLit records are available for automatic download to Zotero & Mendeley
Pri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