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AFETYLIT WEEKLY UPDATE

We compile citations and summaries of about 400 new articles every week.
RSS Feed

HELP: Tutorials | FAQ
CONTACT US: Contact info

Search Results

Journal Article

Citation

Sehee C. Korean Security Sci. Rev. 2015; 45: 161-189.

Vernacular Title

경찰 위기협상 발전 방향에 관한 연구- 경찰 기관의 교육 발전 방안을 중심으로 -

Copyright

(Copyright © 2015, Korean Security Science Association)

DOI

unavailable

PMID

unavailable

Abstract

As the terrorist act inflicted on the American Ambassador to Korea, Mark Lippert on March 5, 2015, the hunting rifle case in Sejong-si in which 3 persons were killed on February 25, and the hunting rifle murder case in Hwaseong-si Namyang-dong on February 27 occurred in succession, there is growing concern that our country is no long safe from firearm violence. Internationally, there is growing concern that our country is no longer safe from international terrorist organizations such as Islamic State (IS), the Sunni Muslims fundamentalists' Islamic militia group, which an 18-year old Korean boy Kim voluntarily joined in January 2015. The police crisis negotiation of our country was established and operated to prepare for the 1988 Olympic Games mainly for counter-terrorism purposes, and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prohibition of the use of guns, not a counter-terrorism incident has occurred, so the skepticism about its existence and the development directions are actively being discussed. Our country still prefers the traditional use of force such as SWAT team to resolve crisis case, such as such as murder, terrorism, robbery, and is reinforcing tactical capabilities. However, to perform the primary mission of the police to protect the people's lives and properties,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the system in which crisis negotiations are possible in the initial stages no matter what incidents may occur by expanding the education for crisis negotiations techniques which are emphasized in the advanced countries such as the United States. In this research, the police department's internal education materials and media are analyzed so that the new police officers who work hardest on the forefront can carry out the roles as basic negotiators of crisis negotiations, and the measures for the development directions of the police crisis negotiations are presented.

Keywords: counterterrorism negotiation; crisis negotiation; hostage negotiation; active listening technique; negotiation team

대테러협상; 위기협상; 인질협상; 적극적 청취기법; 협상팀


Language: ko

Vernacular Abstract

2015년 3월 5일 리퍼트 주한 미국대사 테러사건과 2월 25일 세종시 엽총 사건으로 3명이 사망한데 이어 2월 27일 화성 남양에서도 엽총살인사건이 연이어 발생하며 우리 사회도 더 이상 총기로부터 안전지대가 아니라는 것이 현실화 되고 있다. 국제적으로는, 2015년 1월 18세의 김00이 자발적으로 가입한 이슬람 수니파 원리주의 무장단체인 이슬람국가(IS)등 국제 테러조직으로부터 우리나라도 더 이상 테러로부터 안전지대가 아니라는 우려가 높아가고 있다. 우리나라 경찰위기협상은 1988년 올림픽을 대비하여 대테러 위주로 창설․운영되어 왔으나, 20여 년간 대테러 사건은 한건도 발생하지 않으면서 존재에 대한 회의 및 발전 방향에 대한 논의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는 시점이다. 우리나라는 각종 살인․테러․강도 등 위기상황을 해결하기 위해 전통적인 물리력 행사가 여전히 선호되고 있고 전술적 역량을 강화하고 있다. 그러나, 국민의 신체와 재산을 보호하는 경찰의 기본 임무를 수행하기 위해서는 미국 등 선진국에서 강조하는 위기협상 기법에 대한 교육 확대로 어떤 사건이 발생하던지 초기에 위기협상이 가능한 체계 확립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최 일선 경찰관들이 기본 협상가로서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도록 경찰의 위기협상 운영 실태를 파악하고, 내부 교육 자료 및 언론을 분석하여, 경찰 위기협상의 교육, 선발 등 발전 방향에 대한 대책을 제시하고자 한다.

NEW SEARCH


All SafetyLit records are available for automatic download to Zotero & Mendeley
Pri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