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AFETYLIT WEEKLY UPDATE

We compile citations and summaries of about 400 new articles every week.
RSS Feed

HELP: Tutorials | FAQ
CONTACT US: Contact info

Search Results

Journal Article

Citation

Korean journal of policy studies 2011; 13(2): 65-96.

Copyright

(Copyright © 2011)

DOI

unavailable

PMID

unavailable

Abstract

People unification through street cheering. In 2002 FIFA World Cup Korea/Japan TM, which achieved a lot of outcomes including improvement of national image and attracted the worldwide attention, about 22 million people participated in street cheering and all people experienced exciting and passion. In 2010 FIFA World Cup South Africa TM, total 3.92 million people participated in street cheering for 4 matches where Taegeuk Warriors participate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problem of safety measure in street cheering and its development assignment. Because many cheering spectators are gathered in street cheering, there are various potential accidents. Many problems have occurred because of people's order mind, space security, traffic control & parking, police's support, safety agent's event procedure and specialty and safety-related budget. In 2002, 1,210 people suffered from safety accidents and in 2006, 449 suffered from them. Various accidents such as emergency patient including exhaustion, death from pressure, pickpocket, sexual assault, violence, drunken disorder and traffic accident have occurred. Basically, citizen's order consciousness shall be reconsidered for the safety measure of street cheering. Politically, it is necessary to construct cooperative public peace system between police and private security, secure specialty of security company and use of voluntary service and voluntary crime prevention.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embody safety measure manual of street cheering place from the aspect of operation and prepare substantial safety measure from various angles such as entrance control measure and 3-layer security measure.


국민 단합, 국가 이미지 향상 등의 많은 성과를 거두고 세계의 이목을 집중시켰던 2002 한·일 월드컵축구대회(2002 FIFA World Cup Korea/JapanTM)에서 한국 사회는 연인원 2천2백여만명이 거리응원에 참여하였으며, 온 국민들은 흥분과 열정을 경험한 바 있다. 한국 축구대표팀의 첫 '원정 16강'이라는 쾌거를 이룬 2010년 남아공월드컵에서도 그 열기는 계속 이어져, 태극전사가 출전한 4번의 경기에 모두 392만 명의 인파가 거리응원에 나섰다. 월드컵축구대회 거리응원장과 같은 대규모 군중이 운집하는 행사장은 특성상 통합적이고 총체적인 안전대책이 마련 되어야 하며, 경찰과 민간경비의 안전대책은 물론 관계기관의 지원과 관리·감독도 중요한 문제로 대두된다. 이 연구는 거리응원 안전대책의 문제점과 그에 대한 발전 과제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거리응원장은 많은 응원객이 모이기 때문에 각종 사건사 고가 잠재한다. 시민의 질서의식, 행사장 공간확보, 차량통제 및 주차, 경찰력의 지원, 안전요원의 행사진행과 전문성, 안전관리 부문의 예산 문제 등으로 크고 작은 문제들이 발생 하고 있다. 2002년 한일 월드컵축구대회에서는 1,210명, 2006년에는 449명이 크고 작은 안전사고를 당했으며, 탈진 등 응급환자 발생, 압사사고, 소매치기, 성추행, 폭력사건, 음주소란, 교통사고 등 다양한 사건사고가 발생하고 있다. 따라서 월드컵축구대회 거리응원 안전대책은 근본적으로는 시민 질서의식이 제고되어야 한다. 정책적으로는 경찰과 민간경비의 협력치안체계 구축, 경비업체의 전문성 확보, 자원봉사 및 자율방범대의 활용 등을 고려해야 한다. 또한 운영적으로는 거리응원장 안전대책 매뉴얼이 구체화되어야 하고, 출입통제대책과 3선 경비대책마련 등 다각도에서 구체적인 안전대책이 강구되어야 할 것이다.


Language: ko

NEW SEARCH


All SafetyLit records are available for automatic download to Zotero & Mendeley
Print